이 글은 고장층(고령과 장년) 인구가 즐기는 파크 골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여기에서 논의하는 정책과제는 서귀포의 강창학과 칠십리 파크 골프장에서 최근 들어 파크 골프를 즐기는 필자가 보고 느낀 단상에 기반하고 있다.
이 글의 의도는 현재의 열악한 파크 골프장의 개선과 향후 급속도로 파크 골프 인구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정부 차원의 정책적 관심을 촉구하는데 있다.
이 글에서 논의하는 파크 골프의 정책과제는 파크 골프장 수급 불균형의 해소, 파크 골프장 시설투자의 현대화, 파크 골프장 안전시스템의 구축, 파크 골프장의 체계적 운영관리, 파크 골프 자격증을 소지한 지도사의 배치, 파크 골프 전반의 데이터 베이스화로 과학적 관리와 정책개발의 준거자료로 활용, 파크 골프의 관광자원화, 고장층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신정주공간과 커뮤니티의 구성요소로서 파크 골프의 위상정립, 고장층의 파크 골프 눈높이 수준의 향상과 파크 골프 동호인들의 권익 신장 등 아홉 가지이다.
첫째는 파크 골프장 수급 불균형의 해소이다.
그간 파크 골프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지 않아 민간부문의 참여가 제한되었고 공공부문에서 관심을 가졌으나 한계가 많았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여타 스포츠 시설 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았고 시설용지는 대부분 하천변의 고수부지와 자투리땅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현재 파크 골프장은 수요에 비해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향후 파크 골프장 공급의 다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파크 골프 시설용지는 공공녹지의 우선적 활용과 공공체육시설의 유연적 활용, 다기능 스포츠 컴플렉스화, 민간 주도 스포츠 컴플렉스형 파크 골프 클럽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15분 도시시스템을 지향하는 제주도는 파크 골프장을 포함하는 도시정책이 요구된다.
둘째는 파크 골프장 시설투자의 현대화이다.
파크 골프는 그 옛날 어릴적 우리가 즐겨한 놀이인 구슬치기와 자치기와 비슷하다. 필자는 처음 파크 골프에 입문하면서 제일 먼저 떠오른 생각이 이들 놀이였다.
나는 세월이 한참 흐른 지금의 파크 골프 시설 수준이 그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종종 한다. 그보다 일반 골프와 여타 다른 스포츠시설과 비교하면 턱없이 열악하다. 일부 시설보수를 보면 재활용 자원의 사용으로 덕지덕지 누너기 수준이다.
향후 파크 골프 시설투자의 현대화 방향은 사회정의 차원의 시설투자로 접근해야 한다. 존 롤즈의 사회정의의 원칙은 최약자 최우선 정책을 펴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고장층 인구는 젊은 시절 한국의 근대화를 견인했지만 지금은 사회적 약자에 속한다.
또한 정부는 파크 골프 시설에
최소요구수준의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회복지 차원의 접근으로 파크 골프 일부 시설의 자동화가 필요하다. 고장층 인구는 상대적으로 허리굽히기 등 신체적으로 핸디캡을 가지기 때문이다.
셋째는 파크 골프장 안전시스템의 구축이다.
현재 파크 골프장의 안전 수준은 극히 낮다. 사람안전과 시설안전, 그리고 제도안전이 미흡한 가운데 운영되고 있다. 필자는 이를 파크 골프 3무(無) 안전시스템이라 부른다.
향후 파크 골프 안전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사람안전이 우선되어야 한다. 사람안전은 안전메뉴얼 제정과 기본 안전교육의 실시, 그리고 안전규칙 위반시에는 3진 아웃제 도입이 필요하다.
시설안전은 도시계획시설기준의 마련이고
제도안전은 안전사고에 대한 보험제도의 마련이 시급하다.
넷째는 파크 골프장의 체계적 운영관리이다.
현재 파크 골프장은 선착순 자유 이용이고 지역에 따라 일부 예약을 하거나 저렴한 사용료를 내고 이용한다.
이용대상은 주로 고장층의 현지인이고 일부 외지인과 장애인 등이 함께 이용한다.
파크 골프장 개방은 대체로 아침 7시부터 저녁 6시까지이고 계절에 따라 한 시간 정도 단축되거나 연장되며 우천시에는 잔디보호를 위해 휴장한다. 일 주일에 한 번은 휴장한다. 개인적으로 이용시간과 횟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공공 파크 골프장의
관리주체는 지방정부이고 해당 지역체육회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코스관리는 파크 골프장에 따라 동호인 클럽과 함께 분담하여 협업적으로 관리하기도 한다.
향후 파크 골프장의 체계적 운영관리를 위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주민의 삶의 질 차원과 고장층 인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지원체계가 필요하다.
파크 골프장의 체계적 운영관리에 휴식공간과 샤워시설, 물리치료실 등의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휴게시설에 편의점과 까페, 자동판매기 등의 설치운영이 필요하다.
다섯째는 파크 골프 자격증을 소지한 지도사의 배치이다.
현재 파크 골프 이용자는 다양하고 파크 골프에 대한 인식과 개념, 그리고 경험은 천차만별이다. 또한 파크 골프는 도우미가 없는 자유진행과 일부 이용자들의 기본예절의 부족으르 인해 불쾌 불만 불안 등 3불 가운데에서 운동을 한다.
향후 파크 골프 스포츠 지도사 자격증 소지자의 배치로 안전 지도, 진행 지도, 파크 골프 교육을 담당하도록 한다. 지도사는 시니어를 우선적으로 채용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여섯째는 파크 골프 전반의 데이터 베이스화로 과학적 관리와 정책개발의 준거자료로 활용한다.
현재 파크 골프 동호인들의 자유 이용과 파크 골프장 운영을 위탁받은 주체가 최소한의 관리만 하고 있다.
향후 파크 골프 전반의 데이터 베이스화로 과학적 관리와 정책개발의 준거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베이스화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파크 골프장 이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을 개발한다.
또한 파크 골프의 사회적 편익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는 파크 골프의 관광자원화이다.
현재 파크 골프장의 주된 기능은 파크 골프 동호인들의 이용이고 일부 동호인들이 유명 파크 골프장을 찾아 투어하거나 단체관광객이
파크 골프장을 찾아 일회성 체험을 하고 있다.
향후 파크 골프의 관광자원화는 고령화 사회와 고장층 인구, 가족 단위 관광, 자연 친화적 관광 등의 증가와 트렌드로 신규 파크 골프수요의 다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파크 골프의 관광자원화는 매우 유망한 지역발전전략이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파크 골프 체험 프로그램과 관광 패키지를 연계개발하고,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지방정부는 파크 골프를 지역사회와 공유와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여덟째는 고장층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신정주공간과 커뮤니티의 구성요소로서 파크 골프의 위상정립이 필요하다.
현재 파크 골프는 고장층이 즐기는 파크 골프 스포츠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냥 파크 골프일 뿐이고 파크 골프의 잠재적 가치와 위상은 미정립되어 있다.
향후 신정주공간과 커뮤니티의 구성요소로서 파크 골프의 위상정립과 함께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몇 가지 실현가능한 정책대안을 제안한다.
신도시 개발의 스포츠 인프라로서 파크 골프, 휴식 휴양지 개발의 기본 인프라로서 파크 골프, 4도 3촌 주4일제 근무의 스포츠 인프라로서 파크 골프, 1도 6촌 재택근무의 스포츠 인프라로서 파크 골프, 시설형 실버에서 정주형 실버의 스포츠 인프라로서 파크 골프, 핵가족 1인 가구 문제해결의 대안인 다세대 공동가구의 스포츠 인프라로서 파크 골프, 그리고 15분도시 대표 브랜드로서 파크 골프이다.
아홉째는 고장층 눈높이 수준과 파크 골프 동호인들의 권익 신장이다.
현재 고장층 인구의 눈높이는 3불(不)로 특징지어진다. 고장층 인구의 3불로 불만은 삭이고(1불) 불안은 극복하며(2불) 불편은 참아낸다(3불). 따라서 고장층의 의식과 행태는 이해와 수용, 그리고 관용이다. 고장층은 자신들의 눈높이를 스스로 낮추어 조절한다.
향후 고장층 눈높이 수준과 파크 골프 동호인들의 권익 신장을 위해서는 파크 골프의 체계화와 조직화, 그리고 사회적 연대가 필요하다.
또한 파크 골프계의 주요 잇슈에 대한 상호학습을 통한 의식화와 내면화, 그리고 신념체계로 체화시켜 나가야 한다. 그리고 파크 골프 동호인들의 필요와 기대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행동하는
사회화와 정치화도 필요하다.
이 글을 마치면서 필자는 파크 골프가 고장층 인구의 파라다이스/천국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정부는 파크 골프 정책/투자가 고장층에 미치는 심층적인 사회적 비용편익분석(social cost - benefit analysis)으로 정책/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세밀한 정책/사업설계를 통해 정책/사업의 우선순위화가 주어지기를 바란다.
'함께 살아가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5/ 인간관계의 육수(六守)에 대한 논의 222 (4) | 2024.11.23 |
---|---|
인생6/ 제주 서귀포 치유의 숲에서 얻은 자연의 교훈: 도토리 거위벌레의 번식과정과 협업방식 193 (5) | 2024.09.26 |
인생6/ 소수서원의 팔불출과 파크 골프의 기본예절에 대한 논의 181 (1) | 2024.08.08 |
인생6/ 어떻게 우리는 파크 골프를 즐길 것인가? 파크 골프의 십계명(十誡命)에 대한 논의 180 (0) | 2024.08.06 |
인생4/ 대학교수의 봉사미션과 후생치용(厚生治用)의 만남을 회상하다 179 (1)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