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사업의 배경과 개념
1. RISE 사업의 배경
1.1 시대적 배경
ㆍ4차산업혁명과 AI 시대의 도래로 산업 환경과 대학 교육의 혁신이 요구됨.
- 산업과 교육은 그 성격상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함.
ㆍ현대사회는 공유와 협업의 시대로 지역혁신사업은 협업적 거버넌스 접근방법이 요구됨.
- 지역혁신사업은 다양한 혁신주체들간에 협업적 거버넌스의 구축과 성공적 추진이 필요함.
1.2 현실적 배경
ㆍ저출산과 지역소멸,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교육 붕괴, 특히 지방대학위기에 따른 혁신적 대응이 요구됨.
ㆍ지방대학의 자조적 구조조정과 지방대학간 연합과 같은 다양한 혁신이 필요함.
1.3 정책적 배경
ㆍ최근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통합한 지방시대위원회가 출범함.
- 지역산업진흥과 지방대학 육성, 그리고 지방시대발전계획수립 등 정책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대한 대학차원의 혁신적 대응이 요구됨.
ㆍ분권화된 RIS와 지역대학 간 연계와 역할 강화
- 중앙 주도의 하향적 대학정책에서 지방 주도의 상향적 대학정책의 전환
ㆍ지역산업혁신과 지방대학 혁신을 연계한 지속적 추진이 필요함.
1.4 RISE 사업의 궁극적 역할 기대
ㆍ지역산업의 일자리 확대와 지역대학 인재의 취업
연계로 지방정착의 유도
ㆍ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과 순환형 지역발전을 위한 협업형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구축과 성과에 대한 국가적 지역적 차원의 기대
2. RISE 사업의 개념과 성격
2.1 지역산업의 혁신과 지역 대학교육의 지역화와 글로컬화로 RIS에서 RISE로 진화된 개념
ㆍ지역산업 생태계의 강화와 지역 대학교육의 지역화와 글로컬화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지역인재의 양성
ㆍ중앙 중심의 대학지원에서 중앙과 지방 간에 역할 분담을 통해 대학을 지원하는 분권차원의 제도적 개념임.
2.2 지역산업과 지역대학 간 전후방 연계와 파급효과를 강화하는 개념
ㆍ과거 지역 전략산업 및 지연산업 육성정책과 지역대학의 인재양성정책 간 분리 시행으로 의도한 성과창출의 미흡에 대한 새로운 지역산업정책과 지역대학 간 전후방 연계와 파급효과를 강화하는 정책개념임.
2.3 RISE 사업은 자조와 협조, 공조와 국조, 그리고 글로벌 지향의 협업형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개념
ㆍ자조형 RISE 사업은 지역혁신 주체별 혁신을 추진함.
중앙정부는 대학지원기능을 지방과 대학에 역할을 분담하는 분권을 추진함.
지방정부는 지역혁신을 계획하고 조정하며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함.
지역기업은 기업혁신과 산업생태계 구축에 주체자로 참여함.
지역대학은 자체 구조조정과 대학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함.
ㆍ협조형 RISE 사업은 혁신 주체 간 협업 활동을 확대하는 개념임.
대학연합과 동종 및 이업종 기업간 협업과 산학연 협업을 활성화함.
ㆍ공조형 RISE 사업은 지방정부와 유관 공공기관, 그리고 다양한 혁신 주체 간의 협업 활동을 의미함.
국조형 RISE 사업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중앙정부와 다양한 지역 혁신주체 간 협업활동을 가리킴.
ㆍ글로벌형 RISE 사업은 국내 혁신주체와 글로벌 혁신주체 간 협약, 계약, 협업 등 다양한 혁신활동을 의미함.
2.4 RISE 사업은 기존의 지역산업 및 대학 지원정책과는 달리 성과지표가 명확한 예측 가능하고 실효성 있는 지역혁신 성과지향의 개념
ㆍRISE 사업의 궁극적 결과는 기업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로 지역일자리의 창출/1창, 지역인재의 지역 내 취업 및 정착으로 지역소득과 개인소득의 창출/2창, 지역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규 창업 벤처기업의 확대로 지역기업의 창출/3창, 지역 정주환경의 개선으로 인구 유지 및 유입의 지역인구 창출/4창의 개념임.
2.5 RISE 사업은 선순환 지역발전/ 6진의 핵심 개념이자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과 지방시대를 열어나가는 새로운 기회와 희망의 개념
ㆍ선순환 지역발전은 지역산업에서 일자리 기회를 제공/1진 하고 지역 대학에서 키운 인재가 지역에서 취업/2진 하며 지역에서 취업한 청년들이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향유/3진 함.
ㆍ또한 지역에서 청년들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보건의료/4진 를 책임지고 각종 재해로부터 자유로운 안전보장/5진 을 받으며 삶의 풍요로운 정주 여건을 제공받고 성공적인 지역정착을 함으로써 지역의 인구유지와 새로운 인구유입으로 지역소멸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과 지역활력을 가져오게 하는 하는 개념임.
대학 - 지역혁신 지원체계 정립연구 1차 자문자료/ 2023 .9. 8.
'좋은 정책계획으로 보다 나은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소멸과 농촌생존전략 147 (0) | 2023.11.30 |
---|---|
제주연 특강자료/ 제주발전과 제주연구원의 역할 143 (1) | 2023.09.07 |
어떻게 지역소멸과 저출생의 극복은 가능한가? 지역소멸과 저출생 문제의 통합적 접근 152 (0) | 2023.07.27 |
기후변화와 4대강 사업의 재설계 142 (0) | 2023.07.25 |
유능한 정부/ 계획의 합리성: 존 프리드만 교수의 합리성 유형 06/082 (2)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