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인생은 배움이다
인생 삼모작과  배움의 긴 여정

글  이성근


인생은 삼모작의 긴 여정이다. 일모작은 학업의 성장기이고
이모작은 일하는 성취기이며
삼모작은 유유자적의 은퇴기이다.
 
우리는 긴 여정의 삼모작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까?

인생 삼모작의 긴 여정은
배움의 여정이어야 한다.
아는 것이 힘이고 배워야
소망하는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움의 여정은
인생 삼모작에 따라
각기 배움의
목적과 내용을 달리해야  한다.

그러면 우리는
인생의 삼모작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


인생 일모작은 위기지학의 진덕수업이다.

위기지학의 목적은 수신이다.
수신은 인생의
기본을 닦는 것이다.
인생의 기본은 일생에 자양분이 된다.

진덕수업의 목적은
지혜와 덕성을 키우는 것이다.
지혜는 살아가는 능력이고
덕성은 사람의 도리이다.
예나 지금이나 덕성은
인의예지신이 기본이다.


인생의 이모작은
후생치용의
위인지학과 근학무실이다.

배움은 위기지학에서 위인지학으로 나아간다.
위인지학의 목적은
후생치용에 있다.

후생치용은
세상을 이롭게 두텁게 함이다.
후생치용은 근학무실을
행함에 달려 있다.

근학무실은
배움에 힘써서
맡은 바 소임을 다 하는 것이다.


인생의 삼모작은
귀전선린의 청경우독이다.

귀전선린의 삶은
좋은 이웃과 더불어
자연을 베개 삼아
안분지족의 삶을 사는 것이다. 안분지족은 균형잡힌
성숙한 삶의 태도이다.

청경우독의 삶은
날이 개면 자연과 벗 삼고
궂은 날에는 책을 벗 삼으며 물처럼 사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은 긴 여정이다.
긴 여정의 인생,  삼모작의 인생을 배움의 과정으로 살아가자.

배움의 인생 여정은
우리로 하여금
행복과 의미 있는 삶을
이루게 해준다.

항상
배우면서 살아가자.
기쁘고 즐겁게 배우자.
인생은 배움이다.



용어  해설
01. '인생 삼모작'의 개념은 정부 '일자리위원회'와 '고용노동부'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필자가 인생 삼모작의 개념을 새로이 정의하고 있다.
02. '유유자적'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여유롭게 살아가는 모습이다.
03. '아는 것이 힘이다'는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친 프랜시스 베이컨의 주장에 근거한 교훈에 해당하는 격언이다.
04. '위기지학과 위인지학'은 논어 헌문편에 유래하고, 필자는 퇴계 이황 선생이 정리한 내용에 근거하여 사용하고 있다.
05. '진덕수업'은 주역 중천건  문언전에 나오는 고사성어이고, 이는 대학 8조목에 등장하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수신에 해당한다.
06. '인의예지신'은 공자가 주장한 도덕/ 정치이념으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가리킨다.
07. '후생치용'은 조선 후기 학자인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 북학파에서 주장한 실학이론의 세 가지 핵심개념인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를 필자가 만든 조어로 실사구시에 더욱 가까운 개념이다.
08. '근학무실'은 율곡 이이 선생의 무실사상과 중봉 조헌의 무실정신과 의리정신에 가까운 개념이다.
09. '귀전선린'은 인간의 귀결은 신과 자연으로 돌아가고 평소 이웃과 가정을 소중히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10. '청경우독'은  삼국지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대표적인 인물은 제갈량이다. 제갈량은 유비를 만나기 전에 청경우독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11. '안분지족'은 송나라 홍매가 저술한 용재수필의 삼필 인당 지족에서 유래하고 있다.
12.' 행복' 개념은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인생의 목표는 행복이라고 말한 이후 인생 최고의 가치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현대사회에는 더욱 행복 개념이 중요해지고 있다.
13. '행복보다 더 의미 있는 삶'은 행복보다 더 나은 인생가치로 논의되고 있는 개념이다. 에밀리 에스파히니 스미스는 TED 강의에서 의미 있는 가치의 네  가지 기둥으로 '유대감, 삶의 목적, 초월성, 스토리텔링'을 들고 있다.
14. '기쁜 마음과 즐거운  마음으로 배우자'는 논어의 첫 문장에 나오는 공자의 가르침으로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는 배움의 대표적인 가르침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