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지난번 글에서 소유시대의 종말과 공유사회의 확대에 대해서 논의한 바 있다. 여기서는 공유사례로 ‘카셰어링(Car Sharing)’에 대해서 소개해 보기로 한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승용차 함께 타기와 부제 프로그램, 그리고 자전거 타기 프로그램은 대중교통 이용으로 국민건강과 녹색성장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수많은 창의적인 제안이 제시되어왔다. 그러나 공유사회화와 카셰어링에 연결되지 못하였다.
이스라엘의 건축가 모셰 사프디는 유틸리티 카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유틸리티 카 시스템에서는 특정 지점에 함께 대기 중인 승용차를 필요시에 가져가서 운전할 수 있으며 원래 빌려간 곳과는 다른 지점에 반환할 수도 있다. 마치 공항에서 볼 수 있는 카트를 이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이 아이디어는 일부 유럽도시에서 ‘집단적 승용차 이용’ 또는 ‘승용차 함께 타기’라는 개념 아래 많은 계획과 실험이 진행 중이고 확대일로에 있다.
암스테르담에서는 ‘흰색 자전거’ 시스템을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 10여년에 걸쳐 이용하였고, 암스테르담의 지점 네 곳에서 35대의 승용차가 운영되었다.
최근 카셰어링은 유럽에서 개인교통의 실용적인 대안으로 떠올랐고, 많은 수의 업체가 설립되었다. 실제로 유럽 도시에서는 카셰어링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평균적으로 카셰어링 업체들은 회원 18명당 1대의 승용차를 확보해 둠으로써 좀 더 효율적이고 비용 절감이 가능한 형태로 자동차 공유제를 유지한다. 놀랄만한 사실은 카셰어링을 촉진한 결과 승용차의 운전거리가 줄어드는 대신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독일 브레멘에 본부를 둔 유럽 카셰어링 기구가 설립되었다. 특히 독일에서는 카셰어링 업체들이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같이 노상주차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법적 계약을 맺는 것이 어려워 몇몇 도시들에서는 학교 주차장과 같은 공적 소유 토지를 지정하여 주차지역을 만들도록 하고 있다.
필자는 연전에 방문했던 독일 프라이부르크시에서 공유의 개념이 도입된 정책, 모빌레와 카셰어링 정책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독일의 환경수도라 불리는 프라이부르크시는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남서쪽에 위치하며 약 22만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로 친환경적인 지역개발정책으로 알려진 대표적 도시이다.
특히 자가용 없는 시민을 위한 교통시스템이 대표적 정책 중 하나이다. 1970년에 수립된 자전거 도로계획 후에 현재 약 450㎞의 자전거 네트워크가 정비되어 있다. 중앙역 근처에 모빌레라는 대규모 자전거주차장을 설치하여 자전거를 주차하고 기차, 버스 등 대중교통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모빌레는 자전거의 주차뿐만 아니라 대여자전거, 자전거 수리・판매, 자전거 투어 계획을 위한 오피스 및 카페 등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카셰어링은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자동차를 공동 소유하고 필요할 때마다 일정요금을 내고 이용하는 제도이다. 공동차량 이용클럽에 가입 시 350유로의 보증금과 40유로의 가입비, 그리고 매달 1유로의 정기금을 납부하고 1시간에 1.3유로, ㎞당 30센트의 요금으로 저렴하게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다. 카셰어링은 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자동차 문화로 유럽의 독일과 스위스에서는 새로운 공공교통수단으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서울시가 지난 2012년에 ‘공유도시 서울’이란 슬로건 아래 나눔카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나눔카란 서울시가 시내 교통혼잡과 주차난을 완화하고 교통분야 공유문화 확산을 위해 민간사업자와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는 승용차 공동이용 서비스이다.
2013년 서비스 시행 이후 6개월 만에 이용자가 10만명을 넘어설 만큼 성공적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2013년 연말까지 1천여대의 차량으로 서비스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카셰어링은 다양한 형태로 운영이 가능하다. 정부와 기업체, 그리고 공동주택에서 운영주체가 될 수 있다.
무엇보다 공유개념의 카셰어링이 도입되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먼저 시민들의 대중교통이용을 일상화하는 행태 변화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대중교통이용에 불편함이 없는 훌륭하고 안전한 자전거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카셰어링이 기후변화와 저탄소 녹생성장에 효율적 정책수단임을 인식해야 하고, 이를 위해 도시재생사업에 카셰어링을 도입할 수 있는 정책적 설계와 함께 주민자치회를 통한 카셰어링 주민조직화와 지원책, 그리고 시범사업을 실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대구일보, 2014.9.30/일부 수정
'함께 살아가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2/ 부동산과 사회정의 13/014 (1) | 2021.12.13 |
---|---|
유능한 정부/ 자유로운 대한민국은 어떻게 가능한가? 03/013 (0) | 2021.12.10 |
지방2/ 공유시대 공동부엌과 코하우징 21/011 (0) | 2021.12.03 |
차기 대통령의 선출과 기대/010 (0) | 2021.12.01 |
지방2/ 소유시대의 종말과 공유사회의 확대 20/009 (0) | 202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