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대선정국이고 대선후보들의 다양한 정책공약들이 쏟아지고 있다.
필자는 지방을 살리는 길의 하나가 지역역량의 강화이고, 그중의 하나가 지방연구원의 정책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작은 예산으로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바라건대, 여야 대선후보들의 정책공약에 지방연구원의 위상 강화/정책역량 강화가 반드시 포함되기를 바란다. 지방연구원의 정책역량 강화는 지방의 정책역량 강화로 이어지고 지방주도의 창의적 지역개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주민행복과 지역발전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2020년 현재 「지방자치단체 출연 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설립된 연구원은 18개이다. 우선 광역단위로는 17개 특광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단일 연구원이고 6개 시도는 통합 연구원/대구경북연구원, 대전세종연구원, 광주전남연구원/으로 모두 14개가 있다. 다음으로 기초단위로는 고양시정연구원, 수원시정연구원, 용인시정연구원, 창원시정연구원의 4개가 있다.
지방적 지역발전을 위해 지방연구원의 정책역량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구경북연구원과 같은 지방자치단체 출연 연구원은 1995년 지방자치체제의 실시로 본격적으로 설립되었다. 지방의 정책개발기능을 대리해 줄 연구기관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지방연구원은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 출연 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법적 근거를 갖고 있다.
지방연구원의 중요한 미션은 지역의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과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개발, 그리고 지역관련 통계기반 구축과 장래예측 등이다. 지방자치 실시 이후 각 시・도별로 장기비전과 다양한 법정 비법정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였는데, 이는 지방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마련되었다.
따라서 지방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 그리고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국책연구기관과 크게 다르지 않다. 지방연구원은 중앙부처가 설립한 국책연구기관들과는 달리 지방행정 전 분야를 망라하는 종합적 정책연구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최근 지방연구원의 규모가 설립 초기에 비해 몇 배나 증가한 것은 지방자치발전과 더불어 지방연구원의 기능과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지고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연구원의 역할기대에도 불구하고, 국책연구기관들에 비해 제도적 재정적 정책적 기반이 미비하고 연구환경 및 우수 연구인력 확보 등에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지방연구원이 국책연구기관들 처럼 질 높은 연구원으로 발전하고 지방의 진정한 싱크탱크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지방연구원이 가지고 있는 전문 연구인력의 한계와 지역연구수요의 다양성 간 미스매치를 해결하고, 이러한 한계에서 오는 정책연구 전문성의 한계를 해결해야 한다. 이는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연구원들이 갖는 공통된 문제로서 재정이 열악한 연구원일수록 그 심각성은 더욱 크다.
둘째, 지방연구원에 안정적인 재정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은 지방연구원을 설립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력이 취약하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자치단체 간 지방재정력 격차는 지방연구원 간 재정력 격차도 유사하다. 이는 지방연구원 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 볼 때 중앙정부는 원칙과 기준을 설정하고 지방연구원에 안정적 재정지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방연구원이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을 위한 실질적 정책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성과평가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지방연구원은 매년 소속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경영평가를 받고 있으나 경영평가를 달리해야 한다. 지방연구원의 업무는 정책연구기관으로 이에 지방연구원에 특성을 살리고 성과제고의 선순환체계를 확립해 나가기 위해서는 당초 목적에 부합하는 평가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향후 지방자치제의 진전에 따라 지역발전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고, 지방연구원의 역할 또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진정한 지방자치를 실현하고, 지역민의 행복과 희망, 그리고 균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서 지방연구원의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차원의 재정을 포함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대구일보, 2012.8.16/ 일부 수정
'함께 살아가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1/ 지방분권형 균형발전국가를 위한 제언 11/036 (0) | 2022.02.24 |
---|---|
지방1/ 지방을 살리는 지역주민과 지방정부의 열 가지 마음(열심)에 대한 논의 14/033 (0) | 2022.02.17 |
지방/ 지방분권의 당위성과 아홉 가지 덕에 대한 논의/031 (0) | 2022.02.10 |
인생 사색3/ 공무원의 소명의식과 보편타당한 가치관을 기대한다 e09/030 (0) | 2022.02.05 |
지방2/ 저성장경제구조의 혁신과 지역산업의 육성 16/029 (0) | 2022.02.02 |